-
AnyNews2023.06.07 13:15:15
-
기후변화로 인해 산불이 더 자주 더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산불 연기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방법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.전문가들은 연기가 덮히기 전부터 도중, 그리고 걷힌 뒤를 조치하면 완화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.지금까지는 필요가 없었지만 올 여름엔 공기질 건강 지수(Air Quality Health Index)를 확인하고 숫자가 높을 경우 달리기를 하지 않는 등 활동을 변경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.하루 두차례 업데이트되는 지수는 1부터3까지는 낮은 수준, 4부터 6은 중간, 7이 넘으면 높은 위험을 의미합니다.때문에 천식이나 폐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나 보호자는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공기 질 위험 주의보가 나온다면 가급적 실내에 머물면서 연기가 집에 들어오지 않도록 문과 모든 창문을 잠그고, 헤파필터가 있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합니다.비씬 공기청정기 대신해 홈디포에서 박스형 선풍기와 좋은 필터(MERV filter)를 사 조립하는 DIY식 공기청정기도 차이를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.외출할 때 얼굴에 꼭 맞는 N95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산불 연기가 걷힌 뒤에도 할 일이 있습니다.대기질 주의보가 해제되고 하늘이 맑아진 후에는 모든 창문을 열고 집 안에 쌓인 먼지를 환기시켜줘야 합니다.엘로우나이프에서 산불이 발생한 2014년 응급실 현황을 조사한 연구진은 이 기간 천식과 폐렴 환자가 급증했고, 특히 만성폐쇄성질환(COPD)환자의 입원도 증가했다고 전했습니다.이에 전문가들은 산불 연기 주의보와 정부가 발표하는 공기질 지수를 자주 확인하고 준비해 건강을 지키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했습니다.
번호
|
제목
| |
---|---|---|
12849 | 2023.06.13 | |
12848 | 2023.06.13 | |
12847 | 2023.06.13 | |
12846 | 2023.06.13 | |
12845 | 2023.06.12 | |
12844 | 2023.06.12 | |
12843 | 2023.06.12 | |
12842 | 2023.06.12 | |
12841 | 2023.06.09 | |
12840 | 2023.06.09 | |
12839 | 2023.06.09 | |
12838 | 2023.06.09 | |
12837 | 2023.06.09 | |
12836 | 2023.06.08 | |
12835 | 2023.06.08 | |
12834 | 2023.06.08 | |
12833 | 2023.06.08 | |
12832 | 2023.06.08 | |
12831 | 2023.06.08 | |
√ | 2023.06.07 |